본문 바로가기

💻CS/네트워크4

[WEB/이론] 웹 브라우저에 https://www.naver.com을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 / SSL, TLS, OSI 7계층, DNS, HT 요약 웹 브라우저가 호스트명을 추출 후 DNS(애플리케이션 계층)에 IP 주소를 물어본다 (DNS query) 해당 주소와 TCP 연결 후 SSL/TLS 연결 HTTP 메시지 생성 후 SSL/TLS 암호화, TCP 포트번호(전송 계층)와 IP 주소(네트워크 계층)를 추가 랜카드(물리 계층)를 통해 전송, 이 때 스위치(데이터 링크 계층)와 라우터(네트워크 계층)를 통해 목적지로 메시지가 전달 통신이 끝난 후 4-way handshake을 통해 연결을 종료 지난 게시글에 네트워크 보안 수업을 들으면서 공부했던 내용을 더 추가했다 과정 설명 1) 웹 브라우저에 주소를 입력한다 웹 브라우저는 URL에서 도메인을 추출한다 https://www.naver.com -> www.naver.com 도메인만 가지고는 어.. 2023. 4. 1.
[WEB/이론] 네트워크를 다시 또 내부로 자르는 서브넷팅 서브넷팅이 필요한 이유 아이피의 길이는 8bit * 4 = 32bit 이다 경우의 수는 2^8 = 0~255 = 00000000~11111111이므로 총 256가지이다 사설 아이피가 192.168.0.10/24 이라고 하자 뒤의 /24는 서브넷 마스크의 bit 수 이고 이는 기본적으로 C class를 의미한다 따라서 24bit를 네트워크 아이디 뒤 8bit를 호스트 아이디로 이용한다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 호스트 값 중 00000000인 값은 없는 값이고 11111111인 값은 브로드캐스트 값으로 써야하기 때문에 호스트 값은 256 - 2 = 254개만 쓸 수 있다 여기서 문제는 ISP 입장에서 생각해볼 때 발생한다 A라는 사람이 ISP에게 공인아이피 기준으로 1.. 2022. 9. 24.
[WEB/이론] Encoding, UTF-8, URL Encoding 인코딩은 옛날에 PMP에 동영상 넣을 때부터 사용했던 거라 용어는 친숙했지만 그게 다였다 웹 개발을 하면서 html 문서에 인코딩을 꼭 하라고 해서 왜 쓰는지 궁금해져서 정리해봤다 Encoding 사람이 컴퓨터에 0과 1만 가지고 정보를 읽고 쓰면 불편하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글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숫자를 매핑시킨다 즉, 사람의 문자를 컴퓨터가 알아볼 수 있도록 바이너리 신호로 바꿔주는 것을 문자 인코딩이라고 한다 아래는 초창기 미국에서 만들어진 아스키 코드표이다 영어와 일부 특수문자들만 포함되어 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문자를 입력하면 초록색으로 표시된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되어(인코딩)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UTF-8 아스키 코드표는 한글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한글을 쓰고 싶은데 문자열.. 2022. 9. 1.
[WEB/이론] 웹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 www.naver.com 이라는 url에 접속해보자 네이버의 ip 주소를 알아야 접근이 가능하지만 우리는 네이버의 ip 주소를 모르며 알고자 하더라도 수많은 웹 사이트의 ip 주소를 모두 알기에는 그 양이 너무 많다 따라서 DNS 서버에 질의를 해서 도메인을 주고 ip주소를 얻어온다 하지만 바로 DNS로 질의를 하는 것은 아니다 ip를 얻어오고 연결을 하는 과정을 알아보자 과정 - 기본 1. 컴퓨터마다 hosts 파일이라는 것이 있다 이 파일을 먼저 찾고 ip 주소를 얻어온다 해당 파일 내에 찾고자 하는 ip 주소가 없다면 다음으로 넘어간다 2. 과거 DNS 질의를 해서 운영체제 내에 캐싱된 응답을 확인한다 그 캐싱된 것을 먼저 보고 DNS에 물어보기 전 찾는다 displaydns : dns 캐시를 보는.. 2022. 8. 23.